로그인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로그인 없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국회입법조사처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확립해야”우리나라 성별 임금격차 OECD 국가 중 1위
연윤정  |  yjyon@labortoday.co.kr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7.05.17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네이버구글msn

우리나라 성별 임금격차는 2014년 기준 36.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크다. 남성 임금을 100이라 할 때 여성 임금이 63.3이라는 의미다. OECD 평균(15.5, 2013년 기준)의 두 배를 넘는다.

여성 임금이 현격히 낮은 이유는 여성노동자의 상당수가 비정규직으로 일하기 때문이다. 성별과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가 16일 내놓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 의의와 한계’ 이슈페이퍼에 따르면 동일노동 또는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규정은 국제노동기구(ILO) 100호 협약인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남녀 근로자의 동일보수에 관한 협약’이 있다. 우리나라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 6조의2(기본계획 수립) 2항3호에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 지급의 정착에 관한 사항”이 규정돼 있다.

대부분 국가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 비교대상 근로자 범위를 동일한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정하고 있고, 남녀고용평등법은 동일한 사업으로 포괄범위를 넓혀 모범사례로 꼽힌다. 그럼에도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별도의 사업 또는 사업장을 설립하는 것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의 실질적인 개선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국회입법조사처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가 도입돼도 정교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법을 준수하고자 하는 의지가 약하면 임금격차가 축소되지 않고 그 효과가 미미하다”며 “비교법적 관점에서 모범사례인 남녀고용평등법상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성별 임금격차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는 역설적인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고 밝혔다.

입법조사처는 성별 임금격차 축소와 함께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격차 축소를 위해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적용하는 방안을 깊이 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입법조사처는 “비정규직에서 여성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확립하는 것이 성별 임금격차를 축소하는 의미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국회입법조사처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확립해야 민주노조 2017.05.17 12461
691 함성지 37호 file 민주노조 2017.05.16 10854
690 4기-1차 임시대의원 대회 공고 file 민주노조 2017.04.28 10604
689 원주원예농협, 노조간부 해고·징계는 부당 민주노조 2017.04.20 12150
688 안녕하세요 [맛있는 통돼지바베큐] 각종모임에 좋은 출장뷔페가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 file 김나 2017.04.13 11541
687 아동수당 도입· 정년 연장 및 폐지.. 현실화될까 [2] 민주노조 2017.03.31 22846
686 임시·일용직 임금 1년간 7만원 인상, 상용직은 8배 넘는 59만원 민주노조 2017.03.31 16007
685 [상여금 분할지급으로 최저임금법 회피 꼼수까지 민주노조 2017.03.29 12783
684 한국, 권력 엘리트 청산 못하면 탄핵 전과 다를 것 없어” [2] 민주노조 2017.03.23 27317
683 [무기계약직 반격 시작됐나] 마사회 무기계약직, 차별 수당 50억원 지급 집단소송 [2] 민주노조 2017.03.21 37960
682 정년 60세 법제화 뒤 기업 70% 임금체계 변경 민주노조 2017.03.20 15428
681 퇴직거부자 저성과자 만들어 자른 SK플래닛, 경기지노위 "부당해고"PIP 민주노조 2017.03.20 13360
680 노동계 '최저임금 1만원 대선' 만든다 민주노조 2017.03.17 11014
679 금왕농협 노사, 파업 5개월 만에 교섭 타결인센티브상여금 민주노조 2017.03.17 12207
678 추가자금 안내문 [4] 한원 2017.03.17 20206